오늘은 서울시 무제한 교통카드 '기후동행카드'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
서울시가 2024년부터 지하철,따릉이,버스,리버버스를 무제한 이용가능한 정기이용권을 도입하려고합니다.정기이용권의 이름은 '기후동행카드'로 대중교통이용 촉진을 위해 만들어집니다. 출퇴근을 대중교통으로 하시는분들에게는 좋은소식으로 들리지만 풀어야될 숙제들이 있습니다.

기후동행카드 금액 및 사용방법
- 금액 : 월 6만5000원 (카드최초구매 3,000원 별도)
- 시범운영 : 2024년 1~5월
- 사용기한 1개월 단위 충전(5월말 충전 시 6월까지 사용)
- 사용방법 : 모바일 앱 구입 및 충전,실물카드 동시 판매 예정(시범운영은 안드로이드폰 한정)
사용대상 및 이용불가
- 지하철 (1~9호선,분당선,경춘선,경의중앙선,공항철도,우이신설선,신림선),버스(시내버스,마을버스),따릉이,리버버스 등
- 경기버스,인천버스,광역버스,심야버스,신분당선,서울 권역 외 도시철도
(출처 : 서울시)
서울에서 타면 경기도에서 내려도 인정!?
서울에안에서 지하철을 타고 내리는경우는 민간철도 신분당선을 제외하고 모두 동행카드를 쓸 수 있습니다.
서울안에서 탑승하면 서울바깥 인천이나 경기도안에서 내리는 경우도 적용됩니다.
반면,서울이 아닌 지역에서 탈 때는 서울에서 내리더라도 기후동행카드를 이용 할 수 없어요.
월 최대 얼마까지 아낄수있을까?
매일 대중교통으로 출퇴근하는 서울시민은 월 3000원에서 많게는 3만원까지 아낄수 있다는 분석이 이어지고있습니다
풀어야 할 숙제
시민들의 부담을 줄이는 것은 좋지만 각지자체와 기관의 재정에 무리가올 수 있다고 보고있습니다.
코레일은 요금문제와 관련하여 "서울시와 합의한 것이 없다"고 반발하였으며
경기도와 인천시도 "경기와 인천이 공유하는 수도권 문제를 왜 합의없이 결정하느냐"고 비판했습니다
시민들이 내는 정기권 이용요금 6만5000원을 각 지차제들이 어떻게 수익을 나눠가질지,적자가 난다면 어떻게 메꿀지에 대해 아직 정해지지않아 풀어야 할 숙제입니다
오늘은 서울시 무제한 교통카드'기후교통카드'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다음에도 더욱 전문적인 경제지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'-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한국 축구 A매치 튀니지전 모바일중계 바로가기 (0) | 2023.10.13 |
---|